전체 글 407

처서 處暑

입추 다음에 귀뚜라미의 등을 타고 온다는 처서가 왔다. 새벽녘, 거듭된 열대야에 속옷차림으로 누웠다가 한기에 놀라 잠을 깬다. 길 가세 일렬로 심은 배롱나무의 백일홍, 꽃잎은 거뭇거뭇 시들어 가고 이때다 하고 논에는 벌써 장벼가 패였다. 남도의 농부는 그래서 이를 쌀나무라 부른단다. 옛부터 칠뤌칠석 무렵, 선비는 책을 말리고, 농부는 곡식을 말리고, 부녀자는 옷을 말린다고 했다. 여름내 눅눅해진 물건 을 꺼내 바람을 쐬고 햇빛에 말리는 포쇄(曝曬)를 말한다. 그러므로 자연에 순응한 선인들의 지혜가 지극히 아름답다. 웬 일로, 귀뚜라미가 우짖는 단장(斷腸)의 노래를 아직 듣지 못했다. 생각이 가벼워 적막한 밤을 기다리지 않은 탓이다. 소금을 캐러 차마고도의 설산을 넘는 히말라얀 캐러반과, 저 야크의 목동들..

산문 2022.08.26

덕자, 내게로 오다

고기 이름은 지도(송도) 어판장에서 산 5키로짜리 병어다. 흔한 말로 칠산 앞바다에서 잡히는 덕자다. 누군가 이 보다 더 큰 놈은 경자(?)라 해서 웃음이 터졌다. 경자는 바로 곁에 선 교회 사모님 이름이었다. 광복절 날 , 임자도 대광해수욕장으로 수양회를 갔다가 귀로에 지도를 들러, 한 교인이 덜렁 10키로짜리 싱싱한 민어의 포를 떠 왔기로 인근 우산각에 20여 명이 둘러앉아 민어회의 황홀한 맛을 보며, 이구동성,민어는 여름이 제 철이라,회로 즐기려면 큰 놈이 좋제, 암 그라지라. 오늘, 살이 통통한 덕자의 옷을 벗기는 사람은 임자도가 고향인 김 권사님이다. 내장과 뼈 곁살은 지리국을 끓이고 뱃살 주변은 사시미로 만들었다. 아- 덕자여, 도대체 이건 또 무슨 별천지 바다의 맛이런가?

산문 2022.08.19

수박

수박 남목초등학교 6학년 김예랑 군복을 입고 일렬횡대로 시장 앞에 있는 씩씩한 아저씨들 무슨 훈련을 하려는 것일까? 비장하게 입을 꼭 다문 채 지나가는 사람들만 일일이 지켜보고 있다. ** 위 글은 욼산광역시 제18회 청소년 충효백일장에서 초등부 장원으로 교육감상을 받은 나의 둘째 손녀의 작품이다. 수박을 군인으로 의인화 시킨 그 독창성에 가히 장원감이란 생각이 들어 블로그에 올린다..

2022.08.19